본문 바로가기

mysql3

도커로 DB 생성 후 계정 정보가 수정되지 않을 때 해결 방법 도커를 활용하여 데이터베이스(DB)를 구축하는 경우, 기존의 DB 데이터를 유지하기 위해 db-data 폴더를 생성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. 하지만 도커 설정 변경 후에도 계정 정보가 수정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이러한 문제 발생 원인과 해결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.문제 상황docker-compose.yml 파일에서 DB 관련 계정 정보를 수정했음에도 불구하고 변경 사항이 반영되지 않음.도커 컨테이너를 재시작해도 기존의 계정 정보로만 접근이 가능하며, 새로운 계정 정보는 적용되지 않음.DB 접속 시 "계정 정보가 틀리다"는 오류 메시지가 발생.원인 분석이는 도커에서 데이터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해 db-data 폴더를 사용하기 때문입니다. 도커 컨테이너를 삭제하고 재생성하더라도, .. 2025. 3. 11.
Docker에서 데이터베이스(DB) 생성 및 초기화하는 방법 Docker를 사용하면 손쉽게 데이터베이스(DB)를 생성하고 초기화할 수 있습니다. 본 포스트에서는 Docker를 활용하여 MySQL과 PostgreSQL 등의 데이터베이스를 설정하고 초기화하는 다양한 방법을 소개합니다.1. Dockerfile을 사용하여 초기화하기Dockerfile을 활용하면 컨테이너 실행 시 초기화 SQL 스크립트를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.예제: MySQL 초기화FROM mysql:latestENV MYSQL_ROOT_PASSWORD=rootENV MYSQL_DATABASE=mydbENV MYSQL_USER=userENV MYSQL_PASSWORD=passwordCOPY init.sql /docker-entrypoint-initdb.d/이렇게 하면 init.sql에 작성된 SQL.. 2025. 3. 7.
MySQL TIMESTAMP vs DATETIME: 차이점 완벽 정리 MySQL을 사용할 때 TIMESTAMP와 DATETIME 데이터 타입 중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할지 고민될 때가 많습니다. 둘 다 날짜와 시간을 저장하는 데 사용되지만, 동작 방식과 활용 목적이 다릅니다. 이번 글에서는 TIMESTAMP와 DATETIME의 차이점을 비교하고, 언제 어떤 타입을 선택해야 하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.1. TIMESTAMP vs DATETIME 기본 개념속성TIMESTAMPDATETIME저장 범위1970-01-01 00:00:01 ~ 2038-01-19 03:14:071000-01-01 00:00:00 ~ 9999-12-31 23:59:59저장 크기4바이트8바이트자동 변환CURRENT_TIMESTAMP 사용 시 자동 변환자동 변환 기능 없음시간대 적용서버의 타임존 영향을 받음타임.. 2025. 3. 6.